맨위로가기

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MFO)는 독일의 수학 연구소로, 1944년 나치 독일 시기 "제국 수학 연구소"로 설립되었다. 연합군의 폭격을 피하기 위해 외딴 곳에 위치했으며, 빌헬름 쥐스가 초대 소장을 맡았다. 1950년대에 정부 지원을 다시 받았고, 1958년 쥐스 사망 후 테오도어 슈나이더가 소장으로 취임하여 운영을 이끌었다. 연구소는 여러 차례 증축과 복원을 거쳤으며, 2005년 라이프니츠 협회 회원이 되었다. 1991년에는 보이 곡면 모형이 설치되었고, 오버볼파흐 상을 수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연구기관 - 국제식량정책연구소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는 기아와 영양실조 없는 세상을 목표로 빈곤 감소와 지속가능한 식단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 해결책을 연구하는 국제 연구기관으로서, 식량 가격, 성별, 기후변화, 농업 혁신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정책 입안자 등에게 연구 결과를 제공하지만, 연구 주제 선정 우선순위, 역량 강화 활동 부족, 특정 재단 자금 지원에 대한 우려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국제연구기관 - 합동원자핵연구소
    합동원자핵연구소(JINR)는 1956년 소련 주도로 설립된 국제적인 핵물리학 연구 기관으로, 사회주의 진영 국가들의 과학 협력을 목표로 모스크바 인근 두브나에 위치하며 이론물리학, 소립자물리학, 핵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누클로트론, 싱크로파소트론 등의 주요 연구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북한 또한 창립 초기부터 참여했다.
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 - [연구소]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
원어 명칭Mathematisches Forschungsinstitut Oberwolfach (독일어)
종류독일 연구소
위치오버볼파흐
국가독일
소속라이프니츠 협회
웹사이트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 공식 웹사이트
레스토랑과 객실이 있는 연구소 본관
레스토랑과 객실이 있는 연구소 본관
도서관, 본관, 방갈로
도서관, 본관, 방갈로
입구
입구
설립 정보
설립자빌헬름 주스
설립일1944년

2. 역사

도서관, 본관 및 방갈로


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MFO)는 1944년 9월 1일 나치 독일의 "제국 수학 연구소"(독일어: ''Reichsinstitut für Mathematik'')로 설립되었다.[1] 빌헬름 쥐스가 초대 소장이었으며, 연구소는 연합군의 폭격을 피해 슈바르츠발트의 로렌젠호프(Lorenzenhof)에 위치하였다.[1] 쥐스는 나치당원이었기 때문에 1945년 탈나치화의 일환으로 잠시 해임되기도 했으나, 곧 복직하여 연구소를 유지하고 국제 학술 교류를 재개하는 데 힘썼다. 1950년대에 연구소는 정부 지원을 다시 받았다.[1]

빌헬름 쥐스 사후, 1959년 테오도어 슈나이더가 정식 소장으로 취임하였고, MFO 운영을 위한 수학회 Gesellschaft für Mathematische Forschung e.V.가 설립되었다.[1]

1967년 10월 10일, 폭스바겐 재단의 기증으로 게스트 하우스가, 1975년 6월 13일에는 도서관 및 회의 건물이 개관되었다. 1989년 5월 26일에는 게스트 건물 증축이 이루어졌다.

1995년, MFO는 "쌍으로 연구하기(Research in Pairs)"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2005년 1월 1일, 라이프니츠 협회의 회원이 되었으며,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건물 복원이 이루어졌다. 2007년에는 "오버볼파흐 라이프니츠 펠로우" 박사후 과정 프로그램과 도서관 증축이 이루어졌다.[1]

2. 1. 설립 초기 (1944-1958)



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MFO)는 1944년 9월 1일 나치 독일의 "제국 수학 연구소"(독일어: ''Reichsinstitut für Mathematik'')로 설립되었다. 이 연구소는 전쟁 중 연합군의 폭격을 피해 슈바르츠발트의 로렌젠호프(Lorenzenhof)에 위치하였다.[1] 초대 소장은 빌헬름 쥐스였다.

쥐스는 나치당원이었기 때문에 종전 후인 1945년, 탈나치화의 일환으로 일시 해임되기도 하였으나, 곧 복직하여 연구소를 유지하고 국제 학술 교류를 재개하는 데 힘썼다. 특히, 1956년에는 나치 정권에 의해 추방되었다가 돌아온 수학자 라인홀트 베어와 함께 국제 수학 회의를 개최하여 독일 수학계 재건에 기여했다. 연구소는 1950년대에 정부 지원을 다시 받았다.[1]

2. 2. 쥐스 사후 (1958-1994)

빌헬름 쥐스 사후, 헬무트 크네제르가 임시 소장을 맡았고, 1959년 테오도어 슈나이더가 정식 소장으로 취임하였다.[1] 같은 해, 슈나이더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MFO 운영을 위한 수학회 Gesellschaft für Mathematische Forschung e.V.를 설립했다.[1]

1967년 10월 10일, 폭스바겐 재단의 기증으로 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의 게스트 하우스가 개관되었다. 1975년 6월 13일에는 낡은 성을 대체하는 MFO의 도서관 및 회의 건물이 개관되었는데, 이 역시 폭스바겐 재단의 기증이었다.

2. 3. 현대 (1994-현재)

1989년 5월 26일, MFO의 게스트 건물에 증축이 이루어졌다.

1995년, MFO는 "쌍으로 연구하기(Research in Pairs)"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2005년 1월 1일, 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는 라이프니츠 협회의 회원이 되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MFO의 게스트 하우스와 도서관 건물에 대한 전반적인 복원이 이루어졌다.

2007년에는 박사후 과정 프로그램 "오버볼파흐 라이프니츠 펠로우"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5월 5일, 클라우스 치라 재단과 폭스바겐 재단의 기증으로 도서관 증축이 이루어졌다.[1]

3. 보이 곡면 모형

오버볼파흐 입구에 있는 보이 곡면의 모형


1991년 1월 28일 메르세데스-벤츠의 기증으로 연구소 앞에 보이 곡면의 상징적인 모형이 설치되었다.

보이 곡면은 1901년 다비트 힐베르트의 지도 아래 베르너 보이가 구성한 곡면에서 이름을 따왔다.

4. 역대 소장

재임 기간이름
1944–1958빌헬름 쉬스
1958–1959헬무트 크네저
1959–1963테오도어 슈나이더
1963–1994마르틴 바르너
1994–2002마티아스 크레크
2002–2013Gert-Martin Greuel|게르트-마르틴 그로일de
2013–현재게르하르트 호이겐


5. 오버볼파흐 상

'''오버볼파흐 상'''은 오버볼파흐 재단의 지원을 받아 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와 협력하여 수여하는 상이다.[2] 35세 이하의 젊은 수학자 중 뛰어난 업적을 이룬 사람에게 대략 3년마다 수여된다.[2]

연도수상자
1991피터 크로네이머
1993외르크 브뤼데른(Jörg Brüdernde), 옌스 프랑케
1996게로 프리제케(Gero Frieseckede), 슈테판 자우터(Stefan Sauterde)
1998앨리스 기오네
2000루카 트레비산
2003폴 비란
2007응오 바오 차우
2010니콜라 지글리(Nicola Giglide), 라슬로 세켈리디 주니어(László Székelyhidide)
2013위고 드미닐-코팽
2016제이콥 폭스
2019오스카 렌들-윌리엄스
2022베셀린 디미트로프[2]


5. 1. 개요

'''오버볼파흐 상'''은 오버볼파흐 재단의 지원을 받고, 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와 협력하여 수여하는 상이다.[2] 이 상은 35세 이하의 젊은 수학자 중 수학의 변화하는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사람에게 대략 3년마다 수여된다.[2]

5. 2. 역대 수상자


  • 1991년 피터 크론하이머[2]
  • 1993년 외르크 브뤼데른(Jörg Brüdernde) 및 옌스 프랑케[2]
  • 1996년 게로 프리제케(Gero Frieseckede) 및 슈테판 자우터(Stefan Sauterde)[2]
  • 1998년 앨리스 기오네[2]
  • 2000년 루카 트레비산[2]
  • 2003년 폴 비란[2]
  • 2007년 응오 바오 차우[2]
  • 2010년 니콜라 지글리(Nicola Giglide) 및 라슬로 세켈리디 주니어(László Székelyhidide)[2]
  • 2013년 위고 드미닐-코팽[2]
  • 2016년 제이콥 폭스[2]
  • 2019년 오스카 렌들-윌리엄스[2]
  • 2022년 베셀린 디미트로프[2]

참조

[1] 간행물 Oberwolfach, Yesterday and Today https://www.ams.org/[...] 2000-08
[2] 웹사이트 MFO website https://www.mfo.d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